본문 바로가기
기업소개

기업분석 후 주가분석 씨에스윈드(CS Wind)

by firstmover 2023. 5. 7.
반응형

씨에스윈드 기업분석, 씨에스윈드 전략, 씨에스윈드 전망

씨에스윈드(CS Wind)는 2006년 부터 업계를 선도하고 있는 대표적인 윈드 타워 제조회사이다. 씨에스윈드는 세계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사업을 확장했다. 많은 사람들이 모르지만 씨에스윈드는 한국기업으로 세계 1위의 풍력 발전 타워 제조기업이다. 극한 기후 조건과 가혹한 환경에도 견딜 수 있는 풍력발전 타워를 제조한다. 또한, 타워 내부, 해상 하부 구조 등의 기반을 생산하는 업체이다. 

 

씨에스윈드 제품

 

씨에스윈드는 고객들에게 Onshore 및 Offshore 품목의 제품을 주력으로 제공한다.

Onshore

Onshore는 풍력 발전에서 땅 위에 설치된 풍력 발전기를 의미하며, 바람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시골이나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에 설치되는데, 이는 건물이나 장애물이 바람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육상 풍력 발전의 경우 설치 및 유지보수 자체는 쉬운편이나 토지 선정 및 민원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Offshore

Offshore는 바다 위에 설치되는 풍력 발전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발전기는 바다에서 일어나는 바람의 힘을 이용하여 발전한다. 기술적 한계로 인해 현재 풍력발전은 육상을 위주로 진행되었지만 기술발전으로 해상 풍력발전의 설치도 점차 가능해지고 있다. 해상 풍력 발전을 이용할 경우 육상 풍력 발전의 토지문제,  민원문제가 발생할여지가 없고 대형화 및 중량화에 용이하기 때문에 발전 효율을 높이는게 가능하다. 해상 풍력발전이 떠오르는 이유로는 해저케이블 및 해상풍력 부유체의 개발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씨에스윈드 전략

풍력 발전

씨에스윈드는 전 세계적으로 사업을 공격적으로 확장하면서 풍력업계 주류 고객사와의 파트십을 맺는 전략을 펼친다. 세계 1위 풍력기업 vastas와 합작투자를 협의중이며 독일의 초정밀 장비기업 Siemens와 7년간 수조원대의 공급계약을 맺어 매년 6,000억원의 매출을 확보했다. 에외에도 GE와 900억원대, 550억원대 공급계약을 체결하였다. 

풍력타워는 다품종 소량 생산에 자본과 노동이 집약적으로 투입되는 분야이다. 특히 숙련노동이 요구되기 때문에 경쟁업체가 진입하기 좋은 조건도 아니다. 이런 상황에서 씨에스윈드는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미국, 중국, 말레이시아, 대만, 터키, 포르투칼, 베트남에 타워 생산 공정을 설립하여 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대륙에 풍력타워를 납품하고 있다. 여기에 호주에 신설 공장 투자를 준비중에 있다. 해상 풍력 시대에 대비하여 미리 시장을 선점해 놓은 모습이다. 

 

해상풍력 하부구조물로 사업영업을 넓힐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이다. 2021년에서 2022년에 걸쳐 유럽 시장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은  포르투갈 풍력타워 제조업체 ASMI 지분을 100% 확보했다. ASMI는 하부 구조물 기술력을 가진 업체이다. 해상 풍력발전에는 블레이드를 해수로부터 보로하고 지지하는 하부 구조물이 반드시 필요하다. 바람뿐 아니라 파도 조류를 고려해야만 하고 빙산, 선박 등과 충돌 가능성, 해조류나 염분, 지질조건 등도 따져봐야 하는 핵심부품이다. 해표면에 띄워서 활용하는 부유식 하부 구조물은 기술적으로 난이도가 매우 높다. 풍력 공사비 전체에서 하부 구조물 제작 설치 비중은 30%가 넘는 것으로 파악된다. 

 

씨에스 윈드 전망

 

글로벌 풍력 발전 시장의 전망을 빠르게 좋아지고 있다. 2020년 기준 전 세계적으로 712억 달러에 이르렀는데 2021년 기준으로는 992.8억 달러에 달했으며, 연평균 복리성장률(GAGR)이 6.5%로 추산되어 2050년까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2030년에는 글로벌 풍력 발전 시장은 1,514.7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망이 밝은 것은 당순히 시장규모뿐만 아니라, 기술력 측면에서의 발전 부분도 있다. 예를 들어, 열기를 이용한 새로운 풍력발전 방식이 개발되고 있어 효율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기술력의 향상은 미래 풍력 에너지 시장을 더욱 유망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소이다. 

네옴시티 '더 라인'

또한, 씨에스윈드는 사우디와 강하게 연결된다. 사우디 측이 공장 부지, 인허가 등 지원해 줄 수 있는 내용들을 전달하며 사우디 내 생산공장을 지을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사우디가 재생에너지 발전 확대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2030년까지 전력의 5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할 계획을 잡고있다. 또한, 2030년 완공을 목표로 한'네옴시티'는 100% 재생에너지 발전을 목표로 한다. 사우디 국영석유기업 아람코가 수익을 재생에너지에 투자하는 이유는 이 때문이다. 

 

글로벌 풍력 발전 시장의 성장 전망은 대체 에너지 산업의 전반적인 성장세를 보면, 매우 밝은 것으로 보인다. 기후변화 문제가 점점 더 중요해지면서, 친환경적인 대체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풍력 발전에서 독점적인 지위를 차지하는 씨에스윈드의 가치와 산업 확장성, 미래 지속 가능성을 고려하면 글로벌 풍력 발전 시장은 더욱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