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소개

기업분석 후 주가분석 NAVER네이버

firstmover 2023. 5. 7. 17:17
반응형

네이버 사옥

네이버 기업분석, 네이버 전략, 네이버 전망  

네이버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포털 사이트이다. 초기에는 검색 엔진과 포털 서비스를 중심으로 시작하여,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서비스 다각화를 통해 성장한 기업이다. 현재 네이버는 검색, 뉴스, 쇼핑, 지도, 영화, 음악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블록, 카페, 메일, 캘린더 등의 다양한 커뮤니티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네이버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일본,인도네시아, 대만,  태국 등 아시아 지역에서도 네이버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네이버는 해외에서도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는 회사이다. 

 

네이버 자회사

네이버 주요 사업

 

  1. 네이버 검색 : 뉴스, 이메일, 온라인 쇼핑 등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검색 엔진 및 포털 사이트이다. 포털 사이트를 통해 광고를 노출하고 광고 수익을 얻는 일반적인 포털 사이트의 구조를 가진다. 
  2.  LINE : 모바일 메시지 앱 및 게임, 디지털 스티커, 전자 상거래와 같은 기타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일본에서 높은 점유율을 자랑한다. 
  3. 네이버 웹툰 : 웹툰과 디지털 만화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K-웹툰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선풍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으며 웹툰 작품이 영화나 드라마화 되어 다시 웹툰에 유입되는 선순환의 고리가 이어지고 있다. 
  4. snow: 사용자가 사진과 동영상을 편집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다양한 필터와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카메라 앱.
  5. 클라우드 서비스 : 클로아두 서비스 분야에 진출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의 분야에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기업들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안정적인 인프라와 다양한 AI 서비스를 제공한다. 
  6.  영화 제작 및 발굴사업: 네이버는 영화 제작 및 배급 사업에도 뛰어들고 있다. 네이버에서 직접 제작한 영화 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화를 배급하고 있으며, 영화 티켓 예매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7.  블록체인 기술 : 네이버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를 개발한다. 블록체인 인증서비스인 "블록체인 인증서"를 출시하였으며, 블록체인을 활용한 스포츠 게임도 개발하고 있다. 
  8.  네이버페이: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르 사용하여 결제할 수 있는 모바일 결제 서비스이다. 
  9.  네이버 파이낸셜: 개인과 기업에 금융자문, 대출 서비스 및 지불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이다. 
  10.  쇼핑 및 O2O서비스 : 네이버 페이를 통해 온라인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며, O2O(Online to Offline)서비스인 "스마트 스토어"를 운영한다. 또한, 네이버 나우를 통해 위치 기반의 정보와 할인 쿠폰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네이버는 다양한 자회사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상업과 사업부를 운영하여 전 세계 수백만 명의 사용자에게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자회사 사업부 하나하나가 충분히 사업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네이버의 주요 전략

 

네이버의 주요 전략은 다각화이다. 많은 자회사와 사업부 형태를 보면 알겠지만 자회사 및 사업부의 엄청난 확장을 통해 네이버의 사업분야를 확대하고 어플리케이션 매출, 사용자 매출,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광고 노출을 통해 매출을 확장하는 구조이다. 네이버의 추후 다각화 전략 및 현재 개발하고 있는 분야는 크게 AI와 해외 사업 확장으로 볼 수 있다. 

클로바 AI 플랫폼

AI 분야 

  1.  Papago 번역 서비스는 네이버가 개발한 인공지능 기반의 번역 서비스이다. 인공신경망 기술을 활용하여, 문맥을 파악하고 문장을 이해하여 정확한 번역을 제공한다. 현재는 13개국의 언어를 지원하며, 높은 번역 품질로 사용자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2.  Clova AI 플랫폼, Clova는 네이버가 개발한 인공지능 플랫폼으로, 음성인식, 자연어처리, 이미지 인식 등 다양한 AI 기술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네이버의 스마트 스피커인 웨이브와 함께 사용되며, 음성으로 명령을 내리면 Clova가 해당 명령을 이해하고 서비스를 제공한다.
  3.  쇼핑 모아보기 서비스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상품을 추천하는 쇼핑 모아보기 서비스를 제공한다. AI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검색이력, 구매 이력 등을 분석하고 해당 사용자에게 맞는 상품을 추천한다.

해외사업확장 전략

네이버를 투자함에 있어서 가장 큰 걸림돌이 국내 포털사이트라는 이미지가 너무 강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네이버 역시 공격적인 해외 사업전략을 펼치며 이 의견을 축소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라인 메신저 앱을 운영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태국, 대만, 베트남 등 다양한 지역에서 네이버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일본에서는 음성인식 AI 스피커인 "CLOVA Friends"를 출시하며 ai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구글과의 제휴를 통해 네이버 검색 서비스를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제공하며 구글과 함께 웹 기술 표준화를 위한 웹 플랫폼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다. 여기에 마이크로소프트(MS)와는 클라우드 서비스 분야에서 협력한다. 

 

네이버 전망

 

네이버라는 포털 사이트는 국내에 국한되며 국내에서 이미 가장 큰 사이트기 때문에 성장 가능성이 낮다는 한계에 부딧혀 왔다. 이러한 한계 속에서 포털 광고수익에 거의 대부분의 매출이 발생하는 네이버의 특성상 네이버의 수익성에 대한 우려는 항상 존재했다. 

국내 포털 사이트 점유율 변화 추이 202105~202305

또한, 국내 포털 사이트 점유율에서도 GOOGLE의 맹추격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현재 네이버의 주가는 변동성이 강하다. 네이버는 상황이 이렇다는 것을 가장 잘 아는 기업이다. 따라서 포털사이트 기업에서 탈출하고자 하는 느낌이 강하다. 라인이 출시되었을 당시 카카오와 경쟁이 없었다면 엄청난 종합 서비스 기업으로 성장하였을 수도 있었지만 카카오가 한국 메신저 시장을 잡았기 때문에 본격적으로 다른 활로를 찾아 나가는 느낌이다. 

 

네이버는 살아남기 위해 다각화 전략을 펼치는데 이 사업들이 꽤 성공적으로 이뤄지는 느낌이다. 스마트 스토어를 모르는 사람은 없고 많은 사람들이 네이버 페이를 이용한다. AI 번역 체계인 Papago를 성공적으로 안착시켰으며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곳에 "블록체인 인증서"라는 서비스를 띄어놨다. 블록체인이라는 것이 엄청난 기술이고 경쟁력이 있다는 것을 알고는 있지만 실제로 대중에게 보여준 곳은 그렇게 많지 않은데 말이다. 

여기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장 점유율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아마존의 AWS와 구글에 대항하는 대한민국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론칭한 것은 이례적이라 생각하며 여기에서  생각보다 많은 수익을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애초에 클라우드는 잠재력이 무궁무진한 분야이기 때문이다. 

지금의 네이버는 승부수를 띄웠다고 볼 수 있다. 혁신적인 기술 분야임을 알지만 뛰어들기 힘들었던 AI, 클라우드, 메타버스(제페토), 블록체인, 금융, 전자상거래에 많은 투자를 감행하고 눈에 보이는 성과를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분야에서 실질적인 수익성이 발생하기에는 오래걸리며 불확실하기 때문에 주가가 약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AI, 클라우드, 메타버스, 블록체인에 투자하면 성과를 내는 기업이 수익을 창출하기 시작한다면 정말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거대기업이 될 가능성이 있다. 2030년 AI 시장 규모는 1조 6,000억 달러, 클라우드 1조 5,500만 달러, 블록체인 1조 4,315억 달러, 메타버스 시장 6,788억 달러의 성장이 예측되기 때문이다. 종합하면 불안감 및 광고시장 축소 영향으로 코로나 폭락 시기의 2020.3월 수준의 주가가 형성된 상황에서 커다란 미래에 투자할 수 있는 매력적인 기업이다.   

반응형